전체 글
-
do-while문Java 2021. 11. 22. 09:23
계속진행여부 물을때 do{ // 실행문 (한번은 무조건 실행됨) // 계속진행여부 System.out.print("계속하시겠습니까?(1:예, 2:아니오)"); int ans = scan.nextInt(); if(ans==1) continue; else break; }while(true); while(true){ // 실행문 // 계속진행여부 System.out.print("계속하시겠습니까(1:예, 2:아니오)?"); int ans = sc.nextInt(); if(ans==1) continue; else break; } - 예제) 로또번호 생성기 단, 보너스번호를 제외한 정렬과 중복제거도 구현해야함 import java.util.Random;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
-
for문/while문/switch문Java 2021. 11. 21. 23:03
콘솔에서 단을 입력받아 해당하는 단을 출력하라. 실행 단=8 8*2=16 8*3=24 . . 8*9=72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practice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단="); int num = Integer.parseInt(scan.nextLine()); // 1. for문 이용 for(int i=2; i
-
ML 엔지니어 R&R진로관련/커리어로드맵 2021. 9. 15. 20:14
머신러닝 엔지니어 파이썬을 이용한 모델 배포, 서빙 (백엔드) 데이터엔지니어링 - 이 역량 까지 가진 사람은 많지 않음 백엔드라 하면 아키텍쳐를 어떻게 쌓을 것인지 설계 제공하고자 하는 기능이 working하고, 장애가 생겼을 때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따라서 백엔드의 역량이 머신러닝 엔지니어의 기본 역량 리서쳐가 만든 모델을 올리는 r&r이라고 생각하면 됨 how?) ** 간단한 머신러닝 모델링 + 엔지니어링을 통해 API ** 이렇게 두 가지 다 할수 있다 하는 관점으로 가면 좋다 - api를 어떻게 하면 좋고 - 안정적으로 api를 서버를 운영하려면 어떻게 해야하고 - 로그는 어떻게 남기고 - 클라우드환경에서 어떤식으로 하면 인프라 관리를 좀 잘 할수 있고 - 장애가 났을때 어떻게 대응하면 좋고 - ..
-
배포 순서(큰 틀)(ML&DL) 프로젝트/(ML&DL) 모델 배포,서빙 2021. 5. 22. 04:47
로컬에서 django 웹사이트를 완성하고 서버에 업로드 한다. aws ec2의 경우, SSH 연결, 보안그룹, elastic IP 설정을 해준다. gunicorn 혹은 uwsgi 를 이용하여 배포 서버에서의 django 실행 환경을 만든다. manage.py runserver 가 아니라 guicorn이나 uwsgi 를 이용하여 django 서버를 실행시켜야 한다. (runserver 는 개발용이므로 실제 서비스를 운영하는데 부적합하기 때문에 실제로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할 때는 웹서버를 사용하게 된다 - 장고와 웹서버를 연결해주기 위해 wsgi설치) 80 port 로 요청이 들어와도 (일반적인 브라우저 http 요청) 8000번에서 실행되고 있는 django 서버로 요청을 라우팅 하기위해 nginx 설정파..
-
딥러닝 모델 배포 / 웹서비스(ML&DL) 프로젝트/(ML&DL) 모델 배포,서빙 2021. 5. 22. 04:08
용어정리 1. 서버리스 컴퓨팅 개발자가 서버를 관리할 필요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개발 모델 서버리스 컴퓨팅은 IT인프라를 데이터 센터 혹은 클라우드에 별도 준비 없이, 필요한 기능을 함수 형태로 구현하고, 자동 스케일링 방식으로 시시각각 변하는 자원 수요를 지원하며 전통적인 백엔드 대신 사용한다. 따라서 서버리스 컴퓨팅을 FaaS(Function as a Service) 백엔드 시스템을 보이지 않는 서비스로 추상화하였기 때문에 BaaS(Backend as a Service) 라고 함 서버리스 컴퓨팅은 보이지 않는 곳 어딘가에 관리형 서버가 있다. 즉 물리적인 서버는 존재하고 이에 대한 관리는 클라우드 사업자의 몫임. 서버리스 컴퓨팅을 통해 IT조직과 SW개..
-
LGBM & XGBOOST & CATBOOST(ML&DL) 프로젝트/(ML&DL) 공부자료 2020. 7. 24. 08:33
https://greeksharifa.github.io/machine_learning/2019/12/09/Light-GBM/ Structural Differences in LightGBM & XGBoost LightGBM은 split value를 찾기 위한 데이터를 추출할 때, Gradient-based One-Side Sampling (GOSS) 라는 참신한 기법을 사용함 반면 XGBoost와 같은 GBDT(Gradient Boosting Decision Tree)는 split value를 찾을 때 pre-sorted algorithm & Histogram-based algorithm을 사용함 Gradient Boosting Decision Tree (GBDT)은 모든 가능한 split point에 대..